목록자폐증 (7)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여전히 본방사수는 '황금의 제국'이다. 그러나 황금만 쫓는 사람들의 냉혹함에 가슴마저 시려올 때면 '굿 닥터'의 따스함에 저절로 눈길을 돌리게 된다. 초반에 박시온(주원) 중심으로만 스토리가 전개될 때는 지나치게 교훈적이어서 오글거린다 싶었는데, 점차 다른 인물들의 캐릭터가 살아나면서 색다른 감동을 주고 있다. 소아외과를 방문하는 환자들의 개별적 스토리도 흥미롭지만, 역시 고정 출연자들의 이미지가 어필되어야 진정한 재미가 살아나는 것 같다. '굿 닥터'는 박시온이라는 주인공을 통해 자폐증 환자를 비롯한 정신적 장애인들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어쩌면 육체적 장애인들보다도 더욱 심한 편견과 차별 속에 살아가는 그들의 삶을 비장애인들이 조금이나마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면, 그 한 가지만으로도 이 드라마는 ..
'굿 닥터' 1~2회는 무척이나 신선했습니다. 자폐증을 앓고 있는 의사... 이제까지 한 번도 본 적 없는 주인공의 캐릭터가 아주 강렬하게 시선을 끌었죠. 어린아이의 순수함을 그대로 간직한 채 누구보다 아이들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사랑하는 소아외과 의사라니, 마치 꿈 속에서나 만날 수 있을 듯한 이상적인 의사의 모습은 단숨에 제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게다가 서번트 증후군으로 인한 천재적 암기력과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짚어내는 판단력도 매력적이었고요. 박시온이라는 독특한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 참 많이 고민하고 노력한 흔적이 엿보이는 주원의 명품 연기도 감탄을 자아냈죠. 하지만 신선함의 유효기간은 그리 길지 않았습니다. 3회 이후로 '굿 닥터'는 급격히 밋밋해지면서 초반의 흡입력을 잃고 말았어요. 일단은 주..
자폐증을 앓는 주인공이 좋은 의사가 되는 이야기 '굿 닥터'는 참으로 따스한 드라마입니다. 순수를 찾기 힘들어진 사회 속에서 어린 아이의 순수함을 간직한 사람들과 그 순수의 힘으로 생명을 되찾고 행복해지는 사람들의 이야기니까요. 하지만 그 주제와 의도를 알면서도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일까, 이 드라마 또한 '너의 목소리가 들려'와 마찬가지로 이상향을 그리는 동화쯤으로 생각하고 봐야 하는 게 아닐까라는 의문이 첫 회부터 머리를 떠나지 않더군요. '너목들'은 초능력이라는 판타지를 내세움으로써 동화적 분위기를 조성했기 때문에 다소 과장된 설정들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지만, 자폐증이라는 현실적 질환을 내세운 '굿 닥터'는 훨씬 강한 리얼리티로 다가오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비현실적이거나 과장된 요소가 발견되면..
벌써 세 번째 합창단입니다. '남자가 죽기 전에 해야 할 일 101가지'라는 프로그램의 취지와는 분명 걸맞지 않는 기획이죠. 전문 합창단원도 아닌데 죽기 전에 합창을 세 번씩이나 해야 한다는 건 누가 보더라도 설득력이 없습니다. 박칼린을 내세웠던 시즌1의 대성공에 황홀한 나머지, 그 단맛을 잊지 못한 제작진이 같은 아이템을 줄기차게 우려먹는다는 느낌이 확연하니 그런 점에서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에요.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모여 하나의 울림을 만들어가는 합창 연습의 과정도 처음에는 매우 흥미롭고 신선했지만 이제는 오히려 식상해져 버렸죠. 이런 상황에서 더 뽑아낼 단맛이 과연 남아있을까 싶었는데, 뜻밖에도 한국 최고의 마에스트로 금난새가 선뜻 지휘를 맡겠다고 승낙한 것을 보고는 약간의 기대감이 생..
항상 그렇듯 '슈퍼스타K4'에도 여러가지 사연을 지닌 참가자가 많았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공평한 도전의 기회를 준다는 것은 '슈스케' 시리즈의 큰 장점 중 하나이죠. 아이돌 기획사에 들어갈 것을 목표로 십여 세의 어린 참가자들만이 도전하는 'K팝스타' 시리즈에 제가 끌리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대국민 오디션이란 그 결과가 어떻든 대상의 제한없이 이루어질 때 가장 매력적인 거라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오디션 프로그램이라 해서 꿈의 실현과 경쟁만을 목표로 한다면, 무려 79세의 연세로 과감히 슈스케에 도전하여 서태지의 랩과 춤을 멋지게 소화하시는 서창모 옹의 모습을 보며 느끼는 즐거움을 어찌 누릴 수 있겠습니까? 사업 실패 후 페인트공으로 일하고 계신 54세의 은종엽씨에게는 자폐증을 앓고 있는 ..
이번 주 '강심장'에서는 정말 오랜만에 저의 심장을 제대로 뛰게 하는 토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정선경이 털어놓은 '40세 출산기'였습니다. 제목만 보고는 노산이라서 힘들게 아이를 낳은 것에 대한 체험담일 거라고 단순히 예상했기에 아무 기대가 없었는데, 정작 들어보니 그게 아니었습니다. 정선경은 재일교포 남편과 함께 일본 체류 중에 출산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모 나이 35세가 넘으면 노산으로 분류되어, 그 이전까지는 하지 않아도 되는 기형아 검사 등을 해야 한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는데, 의사가 그것에 대해 아무 언급이 없기에 자신이 먼저 물어보았답니다. 그러자 일본인 의사는 의아해하며 "왜 그런 검사를 하려고 합니까?" 물었고, 정선경은 "그냥 나이가 많은데 초산이라..." 하고 대답했답니다..
'무릎팍 도사'에 출연한 김태원이 아들의 자폐증을 털어놓았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파란만장했던 그의 일대기는 거의 들어 알고 있었으나, 아들이 그렇게 많이 아픈 줄은 처음 알았습니다. 힘겨웠던 지난 날의 온갖 고통들을 이겨내고 지금은 그저 행복하게 살고 있는 줄만 알았는데, 그의 삶에 끝없이 계속되는 고통은 제 이마에 식은땀이 맺힐 만큼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아들 우현이는 지금 11살이지만 한 번도 아빠와 대화를 나눠 본 적이 없다고 했습니다. 김태원은 지금도 아들과 대화하는 꿈을 꾸며 그 날을 기다리고 있다 했습니다. 자폐아에 대해 편견을 가진 사람들의 싸늘한 시선 때문에 그들은 너무나 큰 상처를 받았으며, 그것이 바로 현재 김태원의 아내가 아이들을 데리고 외국에서 살고 있는 이유라고 했습니다. 그의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