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권상우 (15)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도망자 Plan.B'가 어느 새 5회를 넘겼습니다. 총 20부작이니 벌써 1/4이 지나간 셈입니다. 스토리가 탄력을 받기 시작하니 갈수록 재미있어진다는 느낌은 확실히 드는군요. 멜기덱의 정체를 쫓는 지우(정지훈)와 진이(이나영)의 다이내믹한 추격은 오늘도 계속되겠지요. 그들의 뒤에는 끊임없이 지우를 쫓는 도수(이정진)와 그의 부하들이 있습니다. 그야말로 쫓고 쫓기는 드라마인데, 숨막히는 질주 속에서 아주 조금씩 드러나는 멜기덱의 정체가 점점 더 흥미를 자극합니다. "네가 멜기덱이냐?"고 묻는 진이를 비웃으며 황미진(윤손하)은 "멜기덱은 사람이 아니야. 그때 그때 나타나는 얼굴이지. 이 애도 멜기덱, 저 애도 멜기덱~" 이라고 대답했지만, 설령 사람의 이름은 아니라 하더라도 그들의 모든 움직임을 조종하는..
연기자는 어디까지나 연기로 평가받으면 되는 것일 뿐, 사생활이나 기타 다른 부분과 연관시켜서 좋은 연기를 부인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또한 연예인은 연예인일 뿐 공인이 아니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것은 '공인'이라는 단어의 범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르겠군요. 공인(公人)의 사전적 의미는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니, 자기의 개인적 이익을 위해서 일하는 연예인은 공인이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과연 대다수 국민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방송 연예 활동을 '공적인 일'이 아니라 무조건 '사적인 일'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까요?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연예인은 대중에게 자신을 널리 알리고, 대중의 사랑을 먹고 사는 직업입니다. 그들의 노래와 연..
"정통 정치드라마가 아니라 정치를 소재로 한 멜로드라마에 가까우니, 현실 정치와는 전혀 관계 없는 하나의 드라마로 봐 달라."고 했다는 관계자의 말을 미리 접한 후, '대물' 첫방송을 시청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것을 멜로드라마라고 불러도 좋을까 싶은 의문이 들더군요. 약간의 멜로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드라마 전체를 관통하는 화살표는 다른 곳을 가리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앞으로의 전개를 두고 봐야 알겠지만, 모든 드라마에서 1회의 중요성이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것입니다. 1회에서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시청률이 갈리니, 그런 차원에서 보면 1회는 엔딩보다도 훨씬 중요하지요. '대물'은 그렇게 중요한 1회에서 멜로가 아닌 시사적인 면을 확연히 앞으로 내세웠습니다. 이..
이쯤 되면 의도적이라고 밖에 볼 수 없을 듯 합니다. MC몽의 치과 질환으로 인한 병역 면제 논란이 아직 확실하게 진위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하하몽쇼'의 방송이 강행된 것부터가 심상치 않았습니다. 그런데 설상가상으로 1회의 게스트는 최근 표절 논란으로 데뷔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이효리였습니다. 비록 이효리에게 모든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 해도 작곡가의 표절을 인정한 시점이 그녀의 앨범 활동이 거의 끝나가는 시점과 맞물렸다는 점 때문에라도 의혹의 시선이 멈추지 않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자숙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상황인데 그 와중에 이효리는 거침없이 예능에 출연하여 예전처럼 한치도 수그러들지 않는 자신감 100%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예전에는 그녀의 호감도를 높였..
손예진을 처음 본 기억은 2001년 드라마 '맛있는 청혼'입니다. 당시로서는 거의 신인급의 젊은 배우들이 주연을 맡아서 매우 신선한 느낌을 주었었지요. 그 중에는 연기 경력을 좀 갖추었던 정준이 남자주인공이었고, 그때만해도 인지도가 높지 않았던 소지섭이 서브남주였습니다. 더구나 여주인공 손예진과 서브여주 소유진은 모두 생소한 얼굴이었습니다. 심지어 놀랍게도 권상우와 지성이 거의 단역에 가까운 역할로 출연했으니, 지금 그들의 명성을 생각해 보면 그야말로 세월이 무상합니다..^^ 손예진의 첫인상은 같은 여자로서 보기에도 최고였습니다. 티없이 맑고 청순하고, 영리한 느낌을 주면서도 부드러운 이미지... 시대를 불문하고 소년들의 로망이던 '긴머리 소녀'의 느낌 그대로였지요. 연초에 '맛있는 청혼'이 괜찮은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