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강심장 (49)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한때는 신정환을 꽤 좋아했었습니다. 5~6년쯤 전이었군요. 그가 'X맨'과 '연애편지' 등에 출연하며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절입니다. 너무 자주 나온다 싶을 만큼, 당시에는 TV만 틀면 신정환을 볼 수 있었어요. 고정으로 출연하는 프로그램의 수도 많았을 뿐만 아니라, 일회성 게스트로도 여기저기서 환영받는 존재였지요. 적시에 톡톡 치고 나오는 첨예한 예능감과, 몸을 아끼지 않고 온전히 망가지는 열정을 겸비했기에 아무리 자주 보아도 질리지 않았던, 제 생각에는 당시 거의 최고의 아이콘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도박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키며 신정환은 한동안 방송에서 퇴출되고 맙니다. 장난기 가득하면서도 나름 순수해 보였는데 그런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이 실망스럽기도 했지만, 한창 브라운관에서 그의 활약을 보는 ..
요즘 예능은 리얼이 대세입니다. 그리고 일단 리얼모드에 익숙해진 시청자들은, 이제 더 이상 작위적인 그 무엇에도 이끌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강심장'은 남녀간의 억지 스캔들 만들기라는 묵은 카드를 버리지 않고 있으니 참으로 답답합니다. 한때는 '강호동의 천생연분' 이라든가 '연애편지', '산장미팅' 등의 연애 버라이어티가 한창 인기를 끌던 시절이 있었지요. 하지만 제가 보기엔 그런 프로그램에도 일종의 리얼이 존재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남녀간에 정말로 호감을 느꼈다기 보다는, 워낙 여러 명이 출연하여 게임 위주로 진행되다 보니 일종의 경쟁의식이 작용했을 거라는 말입니다. 킹카나 퀸카에게는 항상 많은 수의 이성이 대쉬했고, 파트너로 선택받기 위해 동성들 사이에서 벌어졌던 피 튀기..
'남자의 자격'에서 김국진의 '롤러코스터' 강의가 인기를 끈 이후로, 종종 많은 사람들의 인생이 롤러코스터에 비유되곤 합니다. 실제로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으니, 김국진의 그 강의는 모든 사람이 귀담아 들을만한 명강의였음에 생각할수록 감탄을 금할 수 없네요. '롤러코스터에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겠으나, 최소한 내리막이 찾아왔을 때 모든 희망을 잃고 좌절할 필요는 없음을 깨우쳐 주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 효과를 확실히 거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람마다 오르막과 내리막의 양상은 제각기 다릅니다. 최근 연예계에 하도 안 좋은 일들이 많다 보니, 아무래도 '내리막'을 더 많이 보게 되는데, 이를테면 '동이'에 출연 중이던 최철호의 경우는 '천천히 올라왔다가 급..
현재 K방송사의 수목드라마 '제빵왕 김탁구'에 출연 중인 윤시윤의 얼굴을 S방송사의 '강심장'에서 발견한 것은 매우 뜻밖이었습니다. 무릇 연기자들의 예능 출연이란 거의 모두가 작품의 홍보를 위해서 아니겠습니까? 윤시윤의 입장에서야 티아라 지연과 함께 출연한 영화 '고사2'의 개봉을 앞두고 있으니 당연히 영화의 홍보를 위해서라고 볼 수 있겠으나,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방송사의 입장이었습니다. '제빵왕 김탁구'는 엄연히 현재 방송중인 드라마이며, 주인공 윤시윤이 예능에 출연해서 눈길을 끌게 되면 '제빵왕 김탁구'에 플러스 요인이 될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필연적으로 그와 경쟁할 수밖에 없는 S방송사의 수목드라마에는 해를 끼치게 된다는 이야기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심장'은 경쟁사의 드라마에 출연 중..
그 동안 '강심장'이라는 프로그램은 여러가지 면에서 비판을 받아 왔는데, 그 중 한 가지는 예능임에도 불구하고 항상 최종적으로는 '우는 여자'에게 강심장을 수여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글쎄 뭐 '우는 여자'를 비하할 생각도 없고, 슬프고도 감동적인 이야기가 예능에 등장해선 안된다고 생각하지도 않지만, 너무 여러 번 비슷한 패턴으로 이어지는 것은 썩 보기에 좋지 않더군요. 눈물이 넘치는 예능은 어쩌다 한 번 보아야지, 자주 보면 그것처럼 짜증나는 것도 없거든요. 그리고 본인의 감정이 과잉되면 보는 사람은 그 감정에 동화되기보다는 오히려 민망해서 어쩔 줄 모르게 되는 경향도 있는 법이라, 저는 늘 '강심장'이 막바지로 치닫을 무렵이면 그 민망함에 대비하는 마음의 준비를 하곤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주 '강심장..
제가 생각하는 이번 주의 강심장은 슈퍼주니어의 김희철이었습니다. 언제부터인지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어도, 드라마의 슬픈 장면을 보아도 좀처럼 울지 않는 제가, 유머러스하게 털어놓는 아이돌 스타의 이야기를 들으며 울다니 스스로 신기한 일이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아무렇지 않은 듯 희철의 말을 듣고 있다가, 남들은 모두 웃는데 혼자 눈물을 글썽이며 잠시 자리를 피하던 이특의 모습을 보았을 때, 순간 눈물이 흐르더군요. 언뜻 보아도 김희철은 상당히 개성이 강해 보입니다. 그리고 제 눈에는 매우 여린 심성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개성이 강하다고 해서 마음이 강한 것은 아니지요. 다만 평범하지 않고 다소 독특한 성향을 타고났을 뿐입니다. 오히려 그런 사람들은 마음이 여리고 매사에 깊은 상처를 받는 경우가 많아요..
오랜만에 상상플러스를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지난 주 '강심장'에 크게 실망했었기에 이번 주에는 채널을 돌려 보았던 것인데, 운이 좋았던 것인지 의외로 아주 기분 좋은, 상큼한 방송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출연진은 브아걸의 나르샤, 가인과 2AM의 조권, 그리고 카라의 한승연, 구하라, 박규리였으며, 사고 때문에 불참한 MC 신정환을 대신하여 송은이가 1일 MC로 자리했습니다. 제가 보기에 요즈음의 아이돌 스타들은 고달픈 연습생 시절을 거치면서 다듬어진 탓인지, 젊은 나이에 비해서는 상당히 둥글둥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속으로야 어떨지 모르지만, 언뜻 보아도 불쾌한 감정이 솟구칠 법한 상황에서마저 능란하게 대처하며 웃음으로 받아넘기는 어른스러움을 자주 보았거든요. 물론 한편으로 생각..
'강심장' 7회를 보며 전체적으로 들었던 생각은 "저 정도면 이미 강한 것이 아니다. 과장하기 위하여 심하게 왜곡된 수준이다" 라는 것이었습니다. 그야말로 '요즘 대세'인 이승기를 향해, 마치 여중생 팬클럽처럼 매주 큰소리로 환호성을 질러대는 여성 패널들이야 뭐 하루이틀 본 것도 아니니까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고정 패널들의 경우는 이제 그만할 때도 되었건만, 지치지도 않더군요. 문제는 여성들의 '줄서기' 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유진이 "이승기씨와 아메리칸 스타일로 인사해보고 싶다" 고 하자 뒤에서 한영이 손을 들며 "줄 설까요?" 했고, 이어서 수많은 여성 연예인들이 앞으로 나와 이승기와 포옹하기 위해 줄을 섰고, 이승기에게 한 번 안기고는 꺅꺅 소리를 내지르며 호들갑을 떨었습니다. 그리고 몸짱 탤런트 ..
강호동 이승기의 '강심장' 2회는 그래도 1회에 비해서는 좋아졌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산만하던 분위기가 약간은 차분해졌고, 게스트들에게 분배되는 발언 기회도 많이 공평해졌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물론 여전히 입도 떼지 못하는 게스트들이 존재하긴 했지만요. 그 문제의 해결책은 출연자 수를 줄이는 방법 외에는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욕심을 부리지 말라고 재차 권하고 싶어요. 무조건 게스트가 많다고 해서 시청률이 잘 나오는 게 아니라는 것을 잘 알텐데 왜 그렇게까지 무리한 욕심을 부리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강심장 2회에서 2NE1에게 할당되는 비중이 물론 작지는 않았지만 지난번 빅뱅에게 편향되었던 1회와 비교한다면 충분히 봐줄만 했습니다. 출연자도 빅뱅의 경우는 지드래곤과 승리 둘뿐이었는데 비해 2N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