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최종환 (5)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무력한 임금이란 동정받기보다 지탄받아야 할 대상임을 '계백' 7회에서 뼈저리게 깨달았습니다. 주인공 계백의 비극은 악역을 맡은 사택가문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마땅히 임금으로서 갖추어야 할 힘을 갖추지 못한 무왕(최종환)에게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무진(차인표)이 목숨 걸고 사택비(오연수)에게서 빼앗아다 바친 살생부는, 역시 예상대로 무왕의 무능한 손아귀에서 조금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오히려 독이 되고 말았습니다. 막강 실세로서 병권마저 장악하고 있는 사택비는 군사를 동원하여 무력으로 궁궐을 제압하였고, 그나마 윤충 장군의 전갈을 받고 외곽에서 지원하러 오던 적은 수의 군사들마저 사택적덕(김병기)에 의해 길목에서 차단당했습니다. 힘의 열세를 지혜로 극복하지도 못한 무왕은 속절없이 폐위될 위기에 처..
사택가문의 사람들이 백제의 권력을 움켜쥐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누구보다 명석한 두뇌를 지녔고, 권력의 속성에 밝으며, 사람을 보는 눈이 뛰어나고, 무엇보다 더없이 비정한 성품을 지녔습니다. 무왕(최종환) 역시 뛰어난 지략으로 신라와의 수차례 전투를 승리로 이끈 영웅이었지만, 손에 넣은 살생부를 어떻게 이용할지 고민하는 무왕의 머릿속은 사택비(오연수)에게 훤히 읽히고 있었습니다. 무왕이 말을 꺼내기도 전에 미리 예측하여 모든 대비를 해 놓는 상황이니 이래서는 속수무책, 이길 방도가 없습니다. 심지어 사택비는 자부심과 기개 면에서도 무왕을 압도하고 있었습니다. 사택가문의 사람답게 비정하기 짝이 없는 대좌평 사택적덕(김병기)은 살생부를 무왕에게 넘기지 않기 위해 자기 딸 사택비를 희생시키려 ..
선화황후(신은정)의 죽음을 목격하고 구사일생 살아남아 궁으로 귀환한 뒤, 의자 왕자(노영학)는 허랑방탕한 바보 흉내를 내며 아버지인 무왕(최종환)에게조차 십수년간이나 속마음을 감추고 살아왔습니다. 그러던 그가 드디어 5회에서 본색을 드러냈군요. 극적으로 재회한 무진 장군(차인표)을 살리기 위해서였습니다.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일 뿐인데, 왜 살아있는 제가 그 참담한 기억을 안고 살아야 한단 말입니까?" 의자는 생모 선화황후의 제를 모시지 않겠다고, 위패는 그저 나무쪼가리일 뿐 사람이 아니라고, 자기가 효와 예를 다해 모실 분은 오직 사택황후(오연수) 뿐이라고 외치는데, 이복동생 교기(서영주)는 차갑게 비웃으며 "그 말이 진심이라면 저 나무쪼가리를 불태워 버리시라"고 말합니다. 주변의 만류를 뿌리치고, ..
'계백'을 2회까지 시청한 후 깨닫게 된 한 가지가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철저히 주인공 '계백'을 살리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악역 '미실'이 주인공을 제치고 드라마의 상징이 되어 버렸던 '선덕여왕'과 결정적으로 차별화되는 부분입니다. 사실 김근홍 PD는 전작 '선덕여왕'에서 한국 드라마 사상 가장 매력적인 여성 악역을 탄생시키는 영광을 맛보았지만, 한편으로는 주인공의 존재감이 악역에게 밀리는 바람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기도 했을 것입니다. 드라마의 기본 원칙은 주인공을 중심으로 해서 모든 상황이 돌아가야 하는 것인데, 주인공보다 악역이 부각되면 스토리를 끌고 나가기도 힘들어질 뿐 아니라 작품의 완성도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김근홍 PD는 이번 작품에서 전작의 실..
저는 지금까지 줄곧 드라마 '아이리스'를 시청해 왔으나 별다른 이끌림을 느끼지 못했었습니다. 분위기가 너무 무거웠고, 제 기준으로는 액션이 너무 많아서 지루하다 싶었고, 중간중간에 개연성 없이 뚝뚝 끊기는 부분들도 어처구니 없었습니다. 워낙 인기가 많길래 그래도 뭔가 얻을 것이 있겠지 싶어서 꾸준히 보고는 있었지만 솔직히 참을성을 요구할 만큼 별 재미가 없더군요. 그런데 12회에서 '목소리' 김갑수씨가 등장하면서 갑자기 확~ 끌리기 시작했습니다. 이제껏 주인공 김현준(이병헌)은 위험한 미로 속을 헤매고 있었습니다. 도처에 그의 생명을 위협하는 적들이 깔려 있었으나 그 정체는 좀처럼 알 수가 없었지요. 이유도 모른 채 끊임없이 온갖 고통을 겪으며 쫓겨다니고, 확실한 대상도 모르는 채 복수심만을 불태우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