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수정 (3)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yHL/btrwk5cOWO7/3UUvKc9O7saVnrjC8Wa9Rk/img.jpg)
표창원 박사와 이수정 교수의 '표리부동'도 재미있게 보았었는데, 얼마 전 새로 시작한 권일용 프로파일러의 '블랙 - 악마를 보았다' 역시 흥미롭게 시청하는 중이다. 그런데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마 유영철 편을 보다가 문득 범죄자들에게는 한 가지 섬뜩한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유영철이 자신이 저지른 끔찍한 연쇄살인의 책임을 '몸을 함부로 놀리는 여자들'과 '부유한 사람들'에게로 돌렸던 것처럼, 범죄자들은 자신이 가진 모든 문제의 원인이 스스로가 아닌 타인에게 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남에게 돌린다는 것이다. 그러니 백년이 지나도 진심으로 반성할 줄 모르는 것이 당연하다. 잘못이 잘못인 줄을 모르는 것이다. 어쩌면 새로울 것도 없는 매우 당연한 사실이다. 그런데 내가 이 부분에서 섬뜩함을 느꼈던 ..
사실상 말을 꺼내기가 조심스런 부분이긴 합니다. 만약 이 드라마의 주제(?)에 많은 사람이 공감하고 있다면, 저의 색다른 의견에 불쾌감을 느낄 사람도 그만큼 많을 테니까요. 하지만 같은 드라마를 보아도 사람마다의 생각과 감상이 다를 수 있듯이, 같은 세상을 살면서도 체험한 삶 자체의 내용과 느낌은 사람마다 천양지차일 수 있는 법이죠. 심지어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났어도 어떤 사람에겐 세상이 분홍빛인 반면 어떤 사람에게는 짙은 회색일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극심한 가난과 부모의 학대에 시달려 온 아이라고 해서 모두 불량 청소년이 되는 것도 아니며, 사이코패스 등의 끔찍한 범죄자가 늘어나는 것도 어떤 사회적 현상 때문이라고만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네, 저는 예전부터 항상 그랬습니다. 물론 사회적 문제도..
평소 이 프로그램은 일반인 출연자들의 '짝' 찾기로 진행되는데, 가끔씩 명절이면 '스타애정촌'이라는 이름으로 연예인 특집을 마련하더군요. 처음에 몇 번 보다가 참을 수 없는 불편함을 느끼고 완전히 접었던 방송이지만, 이번에는 연예인들이 나온다니까 훨씬 가벼운 마음으로 시청할 수 있을 듯하여 채널을 고정했습니다. 일반인들이 출연했을 때는 인간의 이기적인 속성들이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도 불편했고, 순수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섞여 있는 느낌도 불편했습니다. 특히 여성 출연자들은 연예인 지망생으로서 단순히 TV에 얼굴을 비추러 나온 듯한 사람이 많았는데, 뻔히 보이는 가식적인 모습들 틈새에 아주 드물게 순수한 느낌을 주는 사람이 끼어 있으면 그렇게 불편할 수가 없더군요. 하지만 연예인 특집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