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설국 (5)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백과사전에 의하면 '운명론'이란 세상 만사가 미리 정해진 필연적 법칙에 따라 일어난다고 여기는 사상이다. 운명론의 특징은 이 세상의 모든 일에 논리적인 인간관계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 점에 있다고 한다. 운명이 전능의 힘을 가지고 인사(人事) 일체를 지배하기 때문에, 예컨대 한 사람이 어떤 날에 죽도록 운명지어지면 사전에 아무리 많은 노력을 기울여도 그 재앙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믿어버리는 것이다. 이제 보니 임성한 작가는 운명론을 광적으로 신봉하는 것 같고, 샤머니즘(무속신앙)에 끈질긴 애착을 갖고 있으며, 환생 등의 몽환적 개념도 철석같이 믿고 있는 듯 싶다. 전작들에서도 그런 경향이 적잖이 드러났지만, 특히 '오로라 공주'는 임성한의 머릿속을 지배하는 각종 신앙과 사상과 개념들의 총결산이라 할 수 있..
엄밀히 따지면 일처다부는 아니지만, 오로라(전소민)와 설설희(서하준)와 황마마(오창석) 세 사람이 한 집에 오순도순 살아가는 모습에서 일처다부의 향기를 느끼지 않은 시청자가 있을까? 설설희와 황마마가 한 집에서 형님 아우 하면서 사이좋게 지내는 모습은, 여러 명의 아내를 거느리고도 서로 질투하지 않고 의좋게 지내기를 바랐던 조선시대 남자들의 로망을 거꾸로 재현시켜 놓은 것 같다. 남녀를 불문하고 자기 배우자가 다른 이성을 만나 정을 나누는 것에 눈 뒤집히지 않을 사람 어디 있을까? 질투는 인간 내면의 가장 본질적인 감정들 중 하나인데, 칠거지악이라는 비인간적 명분을 만들어 그 본능을 오직 여성에게만 악으로 규정하고 억누르도록 강요했던 그 때는 참으로 잔혹한 시대였다. 임성한 작가는 그 잔혹한 시대를 살다..
드디어 설설희(서하준)의 일편단심 사랑이 결실을 맺었다. 오로라(전소민)는 설설희의 병이 낫든 아니든 상관없이 평생 그의 아내로 살아갈 것을 서약하며 흰 옷을 입고 그의 곁에 섰다. 다행스런 일이었다. 응답받지 못한 외사랑으로 오랫동안 힘겨워했던 설설희가 이제 오로라의 진실한 응답을 받아 생애 최고의 순간을 맞이했다. 그의 병이 완치되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무사히 천수를 누리게 된다면 가장 좋겠으나, 그렇지 못하다 해도 가장 열렬한 소망을 이루었으니 여한은 없을 터이다. 이제 그들에게서 아이가 태어난다면 얼마나 큰 축복일까? 외아들에게 닥친 병마로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좌절을 맛본 설국(임혁) 회장과 안나(김영란) 여사에게도 그보다 더한 위로는 없을 것이다. 결혼식의 축가를 부르는 사람은 록그룹 '부활..
오로라(전소민)과 황마마(오창석)의 결혼이 확정되자, 이른바 '욕하면서 보던' 막장 러브라인이 일단은 종결된 셈이라 급격히 흥미가 떨어진 느낌이다. 원래대로 120회에서 마무리될 예정이었다면 더 이상의 변수는 기대하기 어렵겠지만, 무려 30회나 연장하는 바람에 앞으로도 50회를 넘기는 분량이 남아 있으니, 이제부터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된다 해도 이상할 게 없다. 아무리 드라마 속 일이라도 행복한 결혼식을 보면 덩달아 입가에 미소가 지어지는 게 인지상정이거늘, 신랑 신부가 행복하게 웃을수록 못마땅해지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 동안 이 신혼부부의 염치없는 행위들을 바라보며 꼬여버린 심정은 저절로 또 다른 태풍을 기대하게 된다. 메인 스토리가 제1막을 내리며 한숨 돌리는 요즘, 주변인들의 이야기가 한창 물이 올..
"얼굴 안돼 보이진 않아요?" 설설희(서하준)의 입에서 이 한 마디가 나오는 순간, 나의 눈시울이 세번째로 젖어들었다. 얼마나 사랑했는지, 얼마나 절실했는지, 이제껏 오로라(전소민)을 향해 왔던 설설희의 마음은 그 한 마디에 모두 담겨 있었다. 그토록 모질게, 진심어린 사과 한 마디 없이, 끝내 그의 이해와 배려만을 요구하며 이별을 통보한 그녀였다. 그도 사람인데 어찌 분노가 치밀지 않았으랴! 오로라는 무례한 이별 통보를 끝낸 후 잽싸게 먼저 차에 올라탔고, 설설희가 칼에 찔린 가슴을 채 봉합도 못한 상태로 운전석에 들어오자 "불편하면 따로 갈게요" 라고 말했다. 남자의 인내심을 테스트라도 하는 것처럼, 더 이상 뻔뻔할래야 그럴 수 없는 정도였다. 아무리 몰락했어도 '공주'는 이래서 '공주'인 것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