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하대 (5)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이렇게까지 안 해도 될 일이었습니다. 이미 주인공 이강훈은 신하균의 훌륭한 연기력에 힘입어 명실상부한 드라마의 중심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여기저기서 '하균앓이'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더불어 캐릭터의 인기도 나날이 상승하는 중입니다. 이만하면 주인공 살리기는 충분하기 때문에, 굳이 김상철(정진영) 교수를 악역으로 만들 필요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9회까지만 해도 천사였던 김상철은 10회부터 급격히 악마로의 변신을 시작하더니, 11회에서는 심하게 유치하고 뻔뻔한 기질을 드러내며 추락했습니다. '지금 이 사람'이 '예전 그 사람'과 동일인물이라고는 도저히 믿을 수 없을 지경입니다. 10회에서는 그래도 약간의 희망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아무래도 김상철은 20년 전 의신대 병원에서의 기억을 ..
'공부의 신'에 등장하는 천하대 특별반 아이들은 하나같이 조금씩은 특별합니다. 그 특별함을 세상의 눈으로 볼 때, 결코 행복한 방향으로 특별하다고 할 수는 없지요. 나현정(지연)은 비록 경제적 어려움은 없으나 부모가 이혼하면서 그 어린 나이에 혼자 살고 있는 외로운 아이이며, 홍찬두(이현우)는 부와 명예를 겸비한 부모님 슬하에서 자라고 있지만 항상 너무 잘난 형, 누나들과 비교되며 자기를 향한 부모님의 과분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헉헉대는 아이입니다. 황백현(유승호)은 할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는데다가 너무 가난해서 강석호 변호사(김수로)가 도와주지 않았다면 두 사람이 몸을 누일 방 한 칸도 얻을 수 없을 상황이었으며, 길풀잎(고아성)은 술과 웃음을 파는 어머니와 단둘이 살았었는데 그나마 최근에 그 어머니..
'공부의 신'은 여러가지로 참 독특한 드라마입니다. 이제껏 학교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는 많았지만, 이렇게 본격적으로 '공부'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모든 스토리가 흘러가는 드라마는 처음인 것 같군요. 한편으로는 공부의 현실적인 중요성을 날카롭게 강조하면서도, 근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인생의 가치는 공부가 아니라는 점을 역설하는 드라마... 지금까지 제가 본 바로는 그렇습니다. 학부모들에게는 어떨지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학생들에게 악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 같아요. 특히 '공부의 신' 7회에서 강석호(김수로)가 학부모들을 모아 놓고 힘차게 외쳤던 "어느 쪽도 상관없다!" 라는 구호(?)는 상당한 반향을 불러일으켰지요. 오직 천하대 합격을 위하여 천금같은 아이들을 열악한 환경에 합숙까지 보내놓고 노심초사하는 학..
'공부의 신' 6회를 보면서 저는 매우 답답함을 느꼈습니다. 뭔가 드라마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잃고 헤매는 것 같았거든요. 사실 그런 기미는 5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양춘삼(앤서니양)이 천하대 특별반의 새로운 영어교사로 부임해 오면서, 기존에 영어수업을 진행하고 있던 한수정(배두나) 선생과의 마찰이 시작되었지요. 그런데 가볍게 지나갔어야 할 그 에피소드를 '공신'에서는 너무 지나치게 키우고 말았습니다. 5회와 6회에서 가장 큰 테마는 바로 특별반 학생들과 한수정 선생님 사이의 사랑과 의리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 그건 지금 이 드라마에서 말해야 내용은 아니지 않나요? 특별반은 어디까지나 특별반입니다. 천하대 합격을 목표로 오직 5명만이 모여서 제한된 시간내에 엄청나게 성적을 올려야 할 역사적(?) 사명..
좀 뒤늦게 '공부의 신'이라는 드라마의 매력에 빠지고 있습니다. 이 드라마에서 표현하려는 주제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간 여러분들의 리뷰를 많이 읽었는데, 주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라든가, 이 사회의 학벌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많이 본 듯 합니다. 학교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퇴행을 조장하고 있는, 위험한 드라마라는 의견도 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학생도 아니고 학부모도 아닌 처지에서, 학교 문화가 피부에 와닿지 않기 때문인지 약간 다른 방향으로 이 드라마를 바라보게 되더군요. 제가 나름대로 이 드라마를 긍정적 시선으로 보게 해 준, 3가지의 포인트를 짚어 보겠습니다. 1. 오봉구 - 천하대가 그렇게 좋은 건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