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조 (3)
빛무리의 유리벽 열기
미래를 알고 싶어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 중 하나이다. 사주나 타로 등의 점술이 동서양 고금을 막론하고 끊임없이 흥행하는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1990년에 발표된 영화 '백 투더 퓨처2'의 내용을 기억하시는가? 30년 후의 미래로 시간 여행을 갔던 주인공 '마티'는 과거 50년 동안의 스포츠 경기 통계가 담겨 있는 책 한 권을 가져오려다가 '브라운' 박사의 만류로 실패하지만, 그들의 대화를 몰래 엿들은 악당 '비프'가 타임머신을 훔쳐타고 더 오래 전의 과거로 달려가 그 스포츠 연감을 젊은 날의 자기 자신에게 전해주면서 모든 현실은 달라졌다. '비프'는 단지 스포츠 경기의 결과를 미리 알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엄청난 부자가 되었고, 돈이 곧 권력인 세상에서 그 힘을 마음껏 휘두른 '비프'의 악행..
이미 왕으로 즉위했으니 '세조'라 호칭하는 것이 맞겠으나 그대로 '수양(대군)'이라 칭하겠습니다. 이 드라마의 분위기에 몰입하여 주인공들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세조는 결코 적법한 왕이 아니니까요. "치욕스런 공주 따위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나라의 공주는 오직 경혜공주마마 한 분뿐이십니다!" 라고 외치던 세령(문채원)의 피맺힌 절규가 귓가에 아른거리니, 저는 이 가련한 여인을 공주라 칭하지 않을 것입니다. 김승유(박시후)와 인생을 함께 할 수 있을지도 알 수 없으나, 설령 가능하다 해도 사랑하는 사람 앞에 평생 고개 못 들 죄인으로 살아야 하는 것이 그녀의 운명입니다. 한동안 가슴에 칼을 품고 앉은 채로 선잠을 자야 했던 김승유는, 이제 모처럼 세령의 어깨에 기대어 깊은 잠에 빠져듭니다. 아무도 믿..
학창시절, 춘원 이광수의 '단종애사(端宗哀史)'를 읽으며 눈물을 펑펑 흘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냉혈한 숙부에 의해 끝내 죽임을 당해야 했던 비운의 임금 단종과,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어린 주군을 지키려 했던 사육신을 비롯한 충신들의 애절한 이야기는 조선 역사 중 가장 슬프면서도 역동적이고 재미있는 부분이라 하겠습니다. 드라마 '공주의 남자'는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금계필담(金溪筆談)이라는 야사의 일부 내용과 작가의 상상을 보태어 만들어진 이야기군요. 1~2회의 느낌은 아주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오랫동안 제 맘에 꼭 드는 드라마가 없었는데, 이제 '공남' 덕분에 갈증이 좀 풀릴 것도 같습니다. 특히 남주인공 김승유는 '선덕여왕'의 비담 이후로 사극 속의 가장 비극적인 히어로가 될 ..